서울시가 주차난 해소를 위해 2025년도 부설주차장 개방 지원사업을 추진합니다!
건물주가 여유 주차공간을 개방하면 시설 개선 및 운영비 지원을 받을 수 있어요.
📌 주요 혜택
✅ 최대 3천만 원 지원 (시설 개선·운영 수익 보전)
✅ 가족배려주차구획 도색·보험료 지원
✅ 서울주차정보 시스템 등록 & 홍보 지원
🏢 건물주는 지원받고, 시민은 편리하게 주차!
지금부터 신청 방법과 조건을 자세히 알려드릴게요! 👇
📍 부설주차장 개방 지원사업이란?
서울시는 부설주차장의 여유 공간을 개방해
주차난을 해소하고, 건물주에게 운영비 보조 및 시설 개선 지원을 제공하는 사업을 운영 중입니다.
🚙 부설주차장이란?
- 건축물, 골프연습장 등 주차 수요를 유발하는 시설에 부속된 주차장
- 서울시 내 부설주차장 수: 총 278,538개소 (2024년 11월 기준)
✅ 주차난 해소 효과는?
✔ 공동주차장 1면 조성 비용: 약 1억 8천만 원
✔ 부설주차장 개방 시 1면당 비용: 약 51만 원
➡ 99.7% 절감 효과! 🎯
💰 최대 3천만 원 지원! 어떤 혜택을 받을 수 있나요?
서울시는 부설주차장 개방에 참여하는 건물주에게
아래 3가지 지원을 제공합니다.
1️⃣ 주차장 시설 개선 지원
✔ 신규 개방 (5면 이상) → 최대 3천만 원 지원
✔ 신규 개방 (5면 미만) → 1면당 200만 원 지원
✔ 연장 개방 (2년 만료 후) → 최대 1천만 원 지원
2️⃣ 운영 수익 보전 지원 (시설 개선 필요 없는 신축 건물 등)
✔ 신규 개방 (5면 이상) → 운영 수익 100% 보전 (최대 3천만 원)
📌 예시:
- 개방주차장 월 요금 수입 20만 원 발생 → 서울시 & 자치구에서 20만 원 지원
- 시비 10만 원 + 구비 10만 원 = 총 20만 원 보전
🚨 운영 수익 보전은 신규 개방 시에만 지원!
3️⃣ 가족배려주차구획 도색 및 보험료 지원
✔ 주차면수 30면 이상 주차장 대상
✔ 도색 비용: 1면당 35만 원 지원
✔ 보험료 지원: 최대 200만 원 지원
📌 가족배려주차구획이란?
- 임산부, 영유아 동반 가족이 우선 이용할 수 있는 주차 공간
🏢 누가 신청할 수 있나요?
✅ 서울시 내 부설주차장을 보유한 건물주
✅ 최소 5면 이상 개방 가능한 시설
✅ 2년 이상 개방할 수 있는 주차장
🚗 우선 지원 대상:
✔ 주차장 확보율 100% 미만 자치구 (종로·중구·양천·영등포·강남)
📢 신청 방법은?
📅 신청 기간: 상시 모집
📌 신청처: 관할 자치구 주차관리과 또는 교통지도과
📂 준비 서류:
1️⃣ 주차장 개방 신청서
2️⃣ 건물 등기부등본 또는 임대차 계약서
3️⃣ 개방 주차장 도면
💡 신청 후 절차는?
✔ 개방 조건 검토 → 주차장 개방 협약 체결 → 지원금 지급
📍 시민들은 어떻게 이용할 수 있나요?
📌 ‘서울주차정보’ 시스템에서 개방 주차장 정보 확인 가능!
✔ 웹사이트 & 모바일 앱 제공
✔ 주차 가능 공간, 요금, 이용 시간 등 실시간 조회 가능
💡 현장에서 바로 확인하는 방법
- 개방 주차장에는 팻말 + 이용 안내판 필수 설치
🚀 서울시가 적극 지원하는 이유?
서울시는 주차난 해소를 위해 부설주차장 개방 사업을 확대하고 있습니다.
🛠 2025년 목표: 2,000면 이상 개방
✔ 2022년: 2,089면 개방
✔ 2023년: 1,832면 개방
✔ 2024년: 2,154면 개방
📢 서울시 교통실장 여장권 발언
"낙후된 주차장 시설 개선부터 시민 이용 안내까지 다양한 지원을 추진한다."
"많은 건물주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해 주차 공유 활성화에 기여하길 바란다."
✅ 지금 바로 신청하세요!
💰 건물주는 최대 3천만 원 지원!
🚙 시민은 저렴하게 주차장 이용!
📌 신청 방법:
✅ 관할 자치구 주차관리과 또는 교통지도과 문의
✅ 서울주차정보 웹사이트 & 앱에서 개방 주차장 정보 확인
📢 부설주차장 개방 지원사업, 여러분의 참여가 주차난 해소에 큰 도움이 됩니다!